경기 평택 아산호에서 ... ◀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 ...
이팦나무 ...

파꽃 ...

소만 (小滿) ...
정의 ...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양력으로는 5월 21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이 황경 60도를 통과할 때를 말한다.
소만(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滿]는 의미가 있다.
내용 ...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그래서 맹하는 초여름이라는 뜻인 이칭도 있다.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진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여러 가지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는다.
보리 싹이 성장하고, 산야의 식물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모내기 준비를 서두르고,
빨간 꽃이 피어나는 계절이다.
모판을 만들면 모내기까지 모의 성장기간이 예전에는 40~50일 걸렸으나, 지금의 비닐 모판에서는
40일 이내에 충분히 자라기 때문에 소만에 모내기가 시작되어 일년 중 제일 바쁜 계절로 접어든다.
또한 소만이 되면 보리가 익어가며 산에서는 부엉이가 울어댄다.
이 무렵은 ‘보릿고개’란 말이 있을 정도로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시기이다.
산과 들판은 신록이 우거져 푸르게 변하고 추맥(秋麥)과 죽맥(竹麥)이 나타난다.
중국에서는 소만 입기일(入氣日)에서 망종까지의 시기를 다시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뻗어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했다.
씀바귀는 꽃상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뿌리와 줄기, 잎은 식용으로 널리 쓰인다.
초후를 전후하여 죽순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먹는 것도 별미이다.
또한 냉잇국도 늦봄이나 초여름에 많이 먹는다. 보리는 말후가 되면 익기 시작하므로 밀과 함께 여름철 주식을 대표한다.
모든 산야가 푸른데 대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영양분을 공급해 주었기 때문이다.
마치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어린 자식을 정성들여 키우는 어미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그래서 봄철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라고 한다.

속담 ...
이 무렵에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뜻으로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참고문헌 ...
四時纂要洪城의 民俗(城文化院, 1994)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세시풍속사전 ...
모란꽃 ...

붓꽃 ...

모내기가 한창이네요.


2015년 5월 16일 ...
토요일 ...
새벽 6시경 ...
서해안고속도로 하행선을 달려 오늘 낚시를 할 아산호로 향하고 있다.
입하(立夏)가 지나고 여름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조석(朝夕)으로 이슬이 내리고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새벽 시간에는 난로를 켜야만 체력 소모 없이 긴 밤을 견딜 수 있는 시기이다.
서해안고속도로 오성ic를 빠져나와 근처 낚시점에 들려 미끼와 소모품을 준비하고 아산호의 상류인 안성천으로 향한다.
작은 둠벙들과 수로를 돌며 조황을 살펴보았지만 며칠 전 내린 비와 물고를 터놓은 논에서 흘러드는
흙탕물 때문인지 조황이 신통치 않은 것 같다.
수로에서 생미끼 낚시를 해보려고 생각했지만 수온이 떨어져있는 지류 권 보다 본류 권 포인트를 찾아
낚시를 해봐야 될 것 같다.
수로 ...

둠벙 ...

배스낚시를 하시는 조사님들도 보이고 ...


보리도 잘 익어가네요.


태양이 떠오르고 ...

이슬이 비처럼 내렸네요.


수로 ...

둠벙 ...


가벼운 채비는 가라앉지도 않을 것 같네요.

오전 10시경 ...
몇 곳의 수로와 둠벙을 돌아보고 오늘 낚시를 할 아산호 본류권 포인트에 도착했다.
부들과 갈대, 수몰버드나무가 잘 발달되어있고 산란이 체 끝나지 않아서인지 씨알 좋은 붕어들이 산란을 하느라
발 앞 부들과 수몰나무에 몸을 비벼대고 있다.
포인트를 살피다보니 연안에서 5m쯤 떨어진 부들 밭 중앙에 누군가 만들어놓은 수상좌대가 보이고 ...
부들이 너무 빼곡하게 자라있어서 몇 시간 작업을 해야 될 것 같기는 하지만 잘 작업을 하면 멋진 포인트가
만들어질 것 같다.
수초제거대와 만능절기를 꺼내 1시간가량 작업을 하고 나니 마음에 드는 멋진 포인트가 만들어졌다.
수심은 50cm ~ 80cm 부들과 부들사이에 2.2칸에서부터 3.6칸까지 12대의 낚싯대를 편성하고
싱싱한 지렁이 3마리씩을 끼워 낚싯대 편성을 마쳤다.
햇볕이 따갑게 내리쬐기는 하지만 파라솔 그늘 아래로 시원한 바람이 불어와 흘러내리는 땀방울을 씻어준다.







아카시아 꽃 향기가 기분을 상쾌하게 만들어 주네요. ^^

이슬에 젖은 민들레 홀씨 ...

붓꽃 ...

오후 15시경 ...
몇 시간 동안 찌를 바라보았지만 가끔 깜박거리는 정도의 움직임만 찌에 전해질 뿐 챔질을 할 만한 입질 한번 없이
아까운 시간만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
라면을 끓여 간단하게 아침 겸 점심을 해결하고 주변을 돌아본다.
상류와 하류 권으로 몇 분의 조사님들이 앉아있기는 하지만 상황은 모두 비슷한 듯 하고
빨리 어둠이 내려 앉아 찌는 듯한 더위만이라도 물러가 주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아산호/평택호 (牙山湖/平澤湖) ...
충남 아산시 인주면(仁州面) 공세리(貢稅里)와 경기 평택시 현덕면(玄德面) 권관리(權管里) 사이에
아산만방조제가 건설되면서 생겨난 저수량 1억 2,300만 t 규모의 인공호수이다.
평택지구 대단위 농업개발사업의 용수원(用水源)을 조성하고, 역류하는 서해 조수의 염해(鹽害) 및 연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1971년 3월∼1973년 3월 시행한 사업으로, 내 ·외자 합하여 377억 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방조제의 길이는 2,564 m, 높이는 8.5 m(수심 최대 17 m), 배수갑문 연장은 150 m, 갑문의 철문은 12연(連:10 m×6 m),
제방 위 도로의 너비는 12 m이다.
연평균 필요 용수 1억 800만 t을 공급하고 남는 물은 남양호(南陽湖:汾陽灣 안쪽에 조성한 인공담수호)에 송수한다.
아산호/평택호 ·남양호 2개의 담수호를 용수원으로 하는 평택지구의 대단위 농업개발사업이 완결됨으로써
경기 ·충남에 걸친 지역의 홍한(洪旱)대책이 크게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농지확장 4,674 ha,
미곡증산 5만 4,983 t의 개발효과를 가져왔다.
그 밖에도 양어 ·양식사업의 터전을 제공하게 되었다.
아산호는 남양호와 함께 1977년에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유원지로 개발되었으며, 수로(水路)는 낚시터이다.
한편 호수의 명칭을 둘러싼 아산시와 평택시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본래 호수는 1974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이 준공을 기념하는 '아산호기념탑'을 세우면서 아산호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한국농어촌공사 평택지사가 호수관리를 담당하면서 평택호로도 불리게 되었고,
1994년 5월에는 교통부가 아산호에서 평택호로 명칭변경 고시(제 1994-25호)를 하기도 했다.
이후 아산호와 평택호가 혼용되고 있으며, 명칭에 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아산호/평택호 [牙山湖/平澤湖] (두산백과)












수 천개는 넘을 듯한 정치망을 피해 붕어들이 어떻게 수로까지 들어 올 수 있을지 ... ㅡ.ㅡ;;




산딸나무꽃 ...

창포꽃 ...


거미 ...

백로 ...

도요새 ...

요즘 노지에서는 주차 문제 때문에 농부님들과 잦은 분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겠습니다.








오후 18시경 ...
이른 저녁을 먹고 포인트로 돌아와 케미라이트를 꺾어 포인트에 찌를 세웠다.
강하게 불어오던 바람도 잠잠해지고 수면 위를 쏜살같이 내달리던 모터보트들도 이젠 보이지 않는다.
건너편 마을에도 하나둘 가로등불이 켜지기 시작하고 ...
이젠 길고긴 기다림의 시간만 남은 것 같다.







바다하늘산의 포인트 ...












태양은 뉘엿뉘엿 서산으로 기울어 가고 ...


케미라이트를 끼워 찌를 세웁니다.









2015년 5월 17일 ...
일요일 ...
새벽 3시경 ...
몇 시간 동안 찌를 바라보았지만 단 한 번의 입질도 없이 활시위를 떠난 활처럼 아까운 시간만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
붕어들은 산란을 하느라 분주히 움직이고 바람도 불지 않고 보트도 다니지 않아 찌를 보는 것도 많이 편해졌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붕어들은 미끼에 전혀 반응을 하지 않는다.
아마도 산란을 하느라 먹이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것 같다.
새벽 시간 낚시를 좀 해보고 입질이 없으면 다른 포인트로 옮겨서 붕어 얼굴이라도 보고 철수를 해야 될 듯하다.
이제 그만 피곤한 몸뚱이를 좀 쉬어주고 동이 트는 새벽 시간을 노려봐야 될 것 같다.




비처럼 내리는 이슬 때문에 난로를 켜고 ...




밤이 깊어가네요.




땅거미가 벗겨지기 시작하며 아침이 찾아오고 ...







동산을 붉게 물들이며 태양이 떠오르네요.






새벽 5시경 ...
시끄러운 알람소리와 지지배배 울어대는 새들의 노랫소리가 달콤한 단잠을 깨우며 포인트에 울려 퍼지고
부스스 눈을 떠 주변을 바라보니 왜가리와 백로가 아침 먹이사냥을 떠나고 있다.
채비를 회수해 싱싱한 지렁이 2마리씩을 끼워 포인트에 찌를 세우고 편하게 앉아 주변을 돌아본다.
어부들은 그물에 든 고기를 꺼내려 쏜살같이 달려가고 얼마 지나지 않아 파도가 연안까지 밀려와 찌를 들었다 놨다한다.
한 시간쯤 낚시를 해 봤지만 더 이상 기다려봐야 붕어 얼굴을 보기는 어려울 것 같고
아무래도 다른 곳으로 포인트를 옮겨야 될 것 같다.
낚싯대를 접고 포인트를 빠져나와 안성천 가지수로로 향한다.




바지장화를 입고 물속에서 낚시를 하시는 조사님도 보이고 ...





요즘은 보기 힘들어진 토종 하얀민들레 ...

민들레 홀씨 ...


오디도 실하게 자라고 ...

찔레꽃 향기가 진하게 풍겨오네요. ^^

소류지 ...


수로 ...



오전 7시경 ...
몇 곳의 조황을 확인하며 상류로 올라가다보니 챔질을 하는 모습이 보이고 멀리서 봐도 40cm에 가까워 보이는 붕어가
제법 힘을 쓰며 끌려나온다.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보니 제법 큰 씨알의 붕어들이 살림망에 담겨있다.
떡붕어와 토종붕어 ...
신림동에서 오셨다는 장희춘 조사님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붕어가 나오는 시간을 여쭈니
초저녁부터 12시 이전 4시부터 오전 8시 까지가 붕어가 잘 나오는 시간이라고 ...
장희춘 조사님과 인사를 나누고 조금 아래로 내려와 4.0칸 떡밥 낚싯대 2대를 편성하고 지렁이와 글루텐 짝 밥을 달아
포인트에 찌를 세우고 편하게 앉아 찌를 바라본다.
얼마 지나지 않아 깜박하는 예신이 전해지고 묵직하게 찌가 올라온다.
강하게 챔질을 하니 9치쯤 되어 보이는 붕어가 제법 힘을 쓰며 끌려나온다.
두 시간쯤 낚시를 더 해봤지만 찌에는 아무런 미동도 느껴지지 않고 아쉬움이 많이 남기는 하지만
이제 그만 미련을 버리고 철수를 해야 될 것 같다.
낚싯대를 접어 차에 싣고 서해안고속도로를 달려 가족들이 기다리는 집으로 향한다.
신림동에서 오신 장희춘 조사님 ...

장희춘 조사님의 조과 ...

장희춘 조사님과 동행출조하신 조사님들 ...


조우님들의 조과 ...
7치에서 턱걸이까지 ...

짬낚시에 나온 9치 붕어 ...

이팦나무꽃 ...

산딸나무꽃 ...

클로버꽃 ...

창포꽃 ...

* 일 시 : 2015년 5월 16일 ... 05:30 ~ 5월 17일 12:00 ... *
* 날 씨 : 비, 맑음 ... *
* 장 소 : 경기 평택 아산호에서 ... *
* 칸 대 : 2.2칸 ~ 4.0칸 ... 총 12대 ... *
* 수 심 : 50cm ~ 80cm... *
* 조 과 : 붕어 ... *
* 미 끼 : 글루텐, 지렁이 ... *
* 주어종 : 붕어, 잉어, 메기, 가물치, 배스 ... *
* 요금 : 0원 ... *
* 현장상황 : 산란중 ... *
* 동행출조 : 바다하늘산 ... *